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삼남대로
- 국토종주 자전거길
- 금남정맥
- 한남금북정맥
- 야영
- #견지낚시
- 백두대간
- 자전거여행
- 야영산행
- 낙남정맥
- 호남정맥
- 삼남길
- 시산제
- 섬산행
- 낙동정맥
- 백운산
- #100대 명산
- 국사봉
- 한남정맥
- #야영산행
- 금북정맥
- 한북정맥
- 100대명산
- #삼남길
- 지리산
- 잣나무숲
- 잣숲
- 자전거 라이딩
- 견지낚시
- 100대 명산
- Today
- Total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백두대간의 역사 본문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96.3월 산림청 발간) 백두대간 명칭사용에 대한 문헌고증을 통하여 용어 변천과정을 분석 정리한 것입니다. |
조선시대 |
* 산수관(山水觀) 시대별 1. 초기 : 자연을 우주의 형상으로 인식하고, 산줄기의 형상과 지세를 보고 그 속 에 흐르는 기를 파악하는 인문지리가 유행하였습니다. 2. 중·후기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고조된 실학파의 민족정신 함양과 실용주의 에 힘입어 자연지리학이 발달하였습니다. 분류기준 1. 『산(山)』을 중심 체계 : 2. 『강(江)』을 중심 체계 : 『대동수경(大東水經)』다산(『산경표(山經表)』신경준(申景濬)으로 추정茶山) 정약용(丁若鏞) * 전통지리서 성호사설(星湖僿說) - 이익(李瀷)(1681 ∼ 1763) 천지문(天地門)』편의 제목을 『 백두정간(白頭正幹)』이라고 하고 내용중에 『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택리지(擇里地) - 이중환(李重煥)(1690 ∼ ? ) 산경표(山經表) - 여암(旅庵) 신경준(申景濬)(1712 ∼ 1781) 광여도(廣與圖) - 조선후기 지도첩 ※ 공통점 |
개화기 |
* 대한지지(大韓地誌)1899년 현채 저 - 갑오경장 이후 현대 교육과정의 지리교과서임 - 백두산은 전국산의 조종(祖宗)으로 지리산에서 끝나며, 이를 정간(正幹)으로 표현됨 * 대한신지지(大韓新地誌), 1908년 장지연 저 - 통감부 설치 이후 지리교과서임 - 산의 흐름은 같으며 "백두산에서 뻗은 백두산맥(白頭山脈)이 지리산에서 끝나니 이를 두류라 한다"고 표현 ※ 위 2종의 교과서는 통감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편집된 교과서 입니다. |
일제침략기 |
* 대한지지(大韓地誌)1899년 현채 저 |
해방이후~현재 |
* 대한지지(大韓地誌)1899년 현채 저 - 일제때 사용하던 산맥분류 체계를 그대로 수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산맥도에는 산맥의 진행방향을 직선으로 나타내지 않고 산맥명칭만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 전통적인 지리서와 현행 산맥체계와의 차이점 1. 현재의 산맥체계는 『땅 위의 지형』보다는 일본의 지질학자가 조사한 『땅 속의 지질구조』를 바탕으로 산맥을 분류 2. 백두산에서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백두대간)가 이어지지 않고 강 등에 의하여 단절 3. 민족의 영산(靈山)이었던 『백두산』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뭇 산중의 하나로 전락 ※ 북한 교과서 - 북한에서는 산맥 대신 『산줄기』라고 표현 - 북한도 고또분지로의 산맥분류 체계를 수용 사용하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임 (산맥분류, 산맥이름 등) - 그러나 '96년 1월부터 북한은 산맥분류 체계를 재구성 1. 국토의 등뼈를 『백두대산줄기』라고 표현하고 줄기는 백두대간의 흐름과 비슷함 2. 일제의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산맥분류를 새롭게 했다고 함 |
산맥체계에 대한 반발과 노력 |
* 대한지지(大韓地誌)1899년 현채 저 |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 |
총 124개소 : 산(山) 57개소, 령(岺)> 48개소, 치(峙) 8개소, 현(峴) 7개소, 봉(峰) 4개소 백두산→ 연지봉→ 허항령→ 보다회산 → 사이봉 → 완항령→ 어은령→ 원산→ 마등령→ 괘산령 →황토령 → 천수령 → 조가령 → 후치령 → 향령 → 태백산 → 부전령 → 대백역 산 → 황초령 → 사향산 → 설한령 → 낭림산→ 상검산 →마유 산 → 횡천령 → 두무산 → 애전산 → 철옹산 → 오강산 → 운령 → 무라발산 → 거차산 → 토령 → 장좌령 → 대아치 → 죽전령 →기린령 → 재령산 → 화여산 → 두류산 → 노동현 → 반룡산 →마은산 → 노 인치 → 박달령→ 백학산 → 예운령 → 설탄령 →분수령 → 청하령 → 추포령 → 풍류산 → 철령 → 판기령 → 기죽령 → 저유령→ 추지령 → 판막령 → 선령 → 온정령 → 금강산→회전령 → 진부령 → 마기라산 → 흘리령 → 미시파령 → 설악→오색령 → 연수령 → 조침령 → 구룡령 → 오대산 → 대관령 →삽당령 → 백봉령 → 두타산→ 청옥산 → 죽현 → 건의령 → 대박산 → 태백산 → 수다산→ 백병산 → 마아산 → 곶적산 → 소백산→죽령 → 도솔산 → 작성산 → 대미산 → 계립산 → 조령 → 이화현 → 희양산→ 주현 → 대야산 → 불일산 → 화산 →속리산→구봉산→ 봉황산 → 웅현 → 웅이산 → 고산 → 흑운산 → 추풍령 → 계방산 → 황악산 → 삼성산 → 우두산→ 삼도봉 → 대덕산 →덕유산 → 백암봉 → 봉황산 → 육십치 → 장안치 → 본월치 →백운산→ 기치→ 유치 → 여원치 → 지리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