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잣나무숲
- 백두대간
- 100대 명산
- 국사봉
- 금남정맥
- #야영산행
- 지리산
- #삼남대로
- 한북정맥
- 낙남정맥
- 100대명산
- 한남정맥
- 자전거 라이딩
- #100대 명산
- #견지낚시
- 백운산
- 섬산행
- 삼남길
- #삼남길
- 호남정맥
- 야영산행
- 잣숲
- 국토종주 자전거길
- 낙동정맥
- 야영
- 금북정맥
- 견지낚시
- 시산제
- 한남금북정맥
- 자전거여행
- Today
- Total
목록1대간 9정맥/백두대간 종주기 (46)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백두대간의 개념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릅니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
백두대간의 생태 진부령-백봉령 구간 지형분석 * 기후지형학적 관점 - 태백산지 고원부로 냉량습윤(冷凉濕潤)하며 서울, 경기지역에 비해 연평균 기온이 4∼5℃ 낮음. - 강수량은 구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관령 일대가 1,700 ∼ 2,300mm로 가장 많음. - 서리발 작용에 의한 기계적 풍화가 ..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96.3월 산림청 발간) 백두대간 명칭사용에 대한 문헌고증을 통하여 용어 변천과정을 분석 정리한 것입니다. 조선시대 * 산수관(山水觀) 시대별 1. 초기 : 자연을 우주의 형상으로 인식하고, 산줄기의 형상과 지세를 보고 그 속 에 흐르는 기를 파악하는 인문지리가..
우리 선조들이 오랜 세월 검증과 고증을 거쳐오면서 발전시켜온 전통지리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백두대간이야말로 우리민족의 삶의 터전인 이 땅을 가장 정확하게 읽어내고 표현해 낼 수 있다. 산줄기가 강을 넘고 바다를 건너는 산맥의 혼돈을 바로잡아 줄 수 있는 대안이 바로 백두대..
백두대간 고도표 백두대간 제 1구간 1 회 지리산 1구간 천왕봉(1,915m) 프린터하기 백두대간 제 1구간 2 회 지리산 2구간 칠선봉 프린터하기 백두대간 제 1구간 3 회 지리산 3구간 만복대(1,433.4m) 프린터하기 백두대간 제 1구간 4 회 수정봉(804.7m), 고남산(846.4m) 프린터하기 백두대간 제 1구간 5 회 봉화산 (919.8..
백두대간 개념도
백두대간1(지리산 천황봉-명선봉) 백두대간2(명선봉-성삼재-만복대) 백두대간3(만복대-수정봉-여원재) 백두대간4(여원재-사치재-복성이재) 백두대간5(복성이재-봉화산-중재) 백두대간6(중재-백운산-육십령) 백두대간7(육십령-남덕유산-백암봉) 백두대간8(백암봉-신풍령-덕산재) 백두대간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