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사봉
- 야영산행
- 삼남길
- 지리산
- 금북정맥
- 호남정맥
- 백두대간
- 100대 명산
- 섬산행
- 시산제
- 견지낚시
- 낙동정맥
- 야영
- #견지낚시
- 한남정맥
- 자전거여행
- 국토종주 자전거길
- 한북정맥
- #삼남대로
- 백운산
- 자전거 라이딩
- #삼남길
- 금남정맥
- 100대명산
- 잣숲
- 낙남정맥
- 한남금북정맥
- 잣나무숲
- #100대 명산
- #야영산행
- Today
- Total
목록1대간 9정맥/낙남정맥 종주기 (19)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낙남정맥]마지막 걸음(나밭고개~매리) 낙남정맥(洛南正脈)은 백두대간의 끝자락 지리산(智異山) 영신봉(靈神峰)에서 출발한다. 그곳에서 남으로 가지를 뻗어 삼신봉(三神峰), 고운동 고개, 돌고지재를 거쳐 옥종(玉宗) 초입의 천왕봉에 이르러 지리산과는 이별한다. 이후 하동 옥종, 사천..
[낙남정맥]열두번째 걸음(신풍고개~냉정고개~나밭고개) 邑號開城何閉門 읍호개성하폐문 山名松嶽豈無薪 산명송악기무신 黃昏逐客非人事 황혼축객비인사 禮義東方子獨秦 예의동방자독진 고을 이름은 개성인데 어찌 문을 닫으며/ 산 이름은 송악인데 어찌 땔나무가 없다 하는가/ 황혼에..
[낙남정맥]열한번째 걸음(마재~신풍고개) 현시점 우리는 원칙(原則)이 사라진 시대를 살고 있다. 원칙이란 말 그대로 '본원적인 규칙이나 법칙으로, 반드시 일관(一貫)되어져야 하고 지켜져야 하는 행동이나 말'을 의미한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주위를 돌아보면 원칙을 찾기란 결코 쉽지 ..
[낙남정맥]열번째 걸음(한치~마재) 중국의 역사는 진시황(秦始皇)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진시황 이전에 하(夏), 은(殷), 주(周)로 이어지는 국맥(國脈)이 존재했었고, 그 이전에 신화(神話)로 전해지는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시대까지 생각한다면 한참을 거슬러 올..
[낙남정맥]아홉번째 걸음(발산재~한치) '고문관(顧問官)'이란 말이 있다. 원래는 자문(諮問)에 응하여 의견을 전하고 기술을 전수해주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지만, 보통 군대에서 어리바리하게 제 역할을 못 해내는 부적응자들을 고문관이라고 부른다. 30여 년 전 강/사/랑은 몸무게 47kg의 ..
[낙남정맥]여덟번째 걸음(배치고개~발산재) 요즘 '꼼수'란 말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꼼수란 원래 "째째한 수단이나 방법"을 가리키는 말이다. 정당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비열한 속임수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오래전부터 인터넷 세상에..
[낙남정맥]일곱번째 걸음(배곡고개~배치고개) 조응문(弔鷹文) 유세차(維歲次) 임진년 삼월 스무닷샛날에 홀로 산꾼 姜氏는 두어 자 글로써 응자(鷹子)에게 고하노니, 하늘 나는 즘생 가운데 종요로운 것 독수리로되, 세상 사람이 귀히 아니 여기는 것은 도처에 날짐승 흔한 바이로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