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길이야기/지리산 둘레길 (16)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지리산둘레길]12구간(삼화실~대축)-다시 1년이 흘렀다! 구간 : 지리산 둘레길 12구간(삼화실~대축)거리 : 구간거리(16.7km), 누적거리(155.3km)일시 : 2024년 5월 29일세부내용 : 삼화실~대축 지리산둘레길 12구간(삼화실~대축) # 지리산둘레길 12구간(삼화실~대축)지형도(아래 지도를 클릭히면 원본을 볼 수 있음) # # #
[지리산둘레길]11구간(하동호~삼화실)-3년 만의 둘레길 순례!2013년 나는 부상병이었다. 오랜 산꾼 생활과 자전거족 활동으로 몸에 무리가 많이 갔던 모양이다. 양쪽 다리 모두에 장경인대염이 발병한 것이다. 장경인대란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질긴 인대를 말한다. 골반에서 무릎까지 이어져 우리 몸의 직립을 지탱하고 다리를 움직이는 운동 능력을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운동선수나 야외활동을 활발히 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찾아오는 부상이다. 장경인대는 길고 단단한 인대라 손상이 생겨 염증이 발생하면 치료가 아주 힘든 것으로 악명 높다. 인내심 갖고 오래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녀석이다. 모든 질병의 치료에는 휴식이 제일 첫 번째 처방이다. 과도한 마찰로 인해 발생한 장경인대염에도 휴식은 필수다. 그러나 ..
[지리산 둘레길]10구간(위태~하동호) 2011년 가을. 나는 낙남정맥(洛南正脈) 종주 중이었다. 낙남정맥은 우리나라 아홉 정맥 중 제일 남쪽에 위치한 정맥이다. '정맥(正脈)'이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와 우리나라 산맥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를 말한다. 백두대간은 남녘땅에 아홉 개의 정맥을 거느린다. 그 정맥들은 이 땅의 척추인 백두대간에서 갈래 쳐 나와 이 땅 곳곳의 뼈대 역할을 한다. 대부분 백두대간에서 출발해 북에서 남으로 혹은 동에서 서로 뻗어내려 바다나 강으로 잠긴다. 그러나 낙남정맥은 백두대간의 종착지인 지리산에서 출발해 하동, 진주, 사천, 고성, 함안, 마산을 거쳐 김해 동신어산을 마지막으로 찍고는 낙동강에 잠긴다. 지나는 고장이 가야의 옛땅이고 유일하게 서에서 동으로 동진(東進)하는 모..
[지리산 둘레길]9구간(덕산~위태) '도(道)'와 '덕(德)'은 동양사상의 가장 대표적 개념이다. '도(道)'는 한자 해석 그대로 '길'을 가리킨다. 그 길은 인간이 마땅히 따라야 할 올바른 길이다. 따라서 도는 '진리(眞理)' 그 자체를 의미한다. 반면 '덕(德)'은 길을 바른 마음으로 바라보는 것으로써 인간이 진리를 사고하여 지성으로 획득하며 이를 실천하여 인격으로 갖춤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도(道)와 덕(德)은 진리와 실천이 함께 일어나 '도덕(道德)'이 되고 인간으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도리나 바람직한 행동 기준으로 역할한다. 덕(德)의 본 글자는 '덕(悳)'이다. 그 해석의 출발은 '득(得)'이다. 중국 후한(後漢) 시대의 '허신(許愼)'이 편찬한 자전(字典)인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덕을 ..
[지리산둘레길]8구간(운리~덕산)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조선 후기 숙종과 영조 연간의 실학자(實學者)이다. 판서 집안인 명문가의 자손으로 안산 첨성리(瞻星里)에서 생애 대부분을 보냈는데, 평생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놀라운 학구열과 부친인 이하진(李夏鎭)이 연경(..
[지리산둘레길]7구간(성심원~운리) 내가 지리산 둘레길에 처음 들어선 것이 2013년 겨울이니 햇수로 벌써 5년이 되었다. 집중력 높은 사람들 같으면 둘레길 완주는 물론이요, 지리산 둘레를 벌써 두세 바퀴는 돌았을 시간이 흐른 것이다. 그런데 나는 이제 겨우 세 번을 둘레길에 나섰고 1박..
[지리산둘레길]6구간(수철~성심원) 가도 가도 붉은 황토길 / 숨막히는 더위뿐이더라 // 낯선 친구 만나면 / 우리들 문둥이끼리 반갑다. // 천안 삼거리 지나도 / 쑤세미 같은 해는 서산에 남는데, // 가도 가도 붉은 황토길 / 숨막히는 더위 속으로 쩔룸거리며 / 가는 길… // 신을 벗으면 /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