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백두대간의 생태 본문

1대간 9정맥/백두대간 종주기

백두대간의 생태

강/사/랑 2007. 10. 10. 12:52
백두대간의 생태
진부령-백봉령 구간
지형분석
* 기후지형학적 관점
- 태백산지 고원부로 냉량습윤(冷凉濕潤)하며 서울, 경기지역에 비해 연평균 기온이 4∼5℃ 낮음.
- 강수량은 구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관령 일대가 1,700 ∼ 2,300mm로 가장 많음.
- 서리발 작용에 의한 기계적 풍화가 화학적 풍화보다 더 크게 작용함으로서 점토함량이 적은 편임.
- 산지사면의 토양유실은 여름철 강수시 보다 봄철 융설시 더 활발함

* 기반암과 관련된 지형환경
화강암 산지(설악·두타산, 대관령일대)
1. 설악·두타산지역은 강수량이 적고 풍화로 인한 암석노출이 심함
2. 대관령 일대는 사질토로 덮혀있고 사면도 평활함.(수목생장, 고냉지농업, 축산 등에 유리)
3. 적설과 융설이 반복되면서 토양유실이 많으므로 목초지의 규모를 소형화하고 방풍 및 토양유실방지 목적의 수목식재가 요구됨.
편마암 산지(미시령일대)
1. 풍화물이나 토양으로 덮혀있어 土山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
2. 점토를 포함한 미립물질이 많아 식물생장에 유리하고 생태계가 안정
석회암 산지(남부 자병산, 석병산일대)
1. 급사면의 뾰족한 봉우리가 많으며 토양은 두께가 얇고 불규칙적임.
2. 석회석 채광과 관련하여 생산자, 산림 및 환경관리당국, 학계, 주민들이 합심하여 시멘트 생산과  환경보존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지혜가 필요함
 
자연생태계
* 기후
- 해발고 1,000m이상으로 해안과 내륙지역간에 기후에 큰 차이가 있고 비슷한 위도 지역에 비해 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적음
1. 백두대간지역(인제,미시령,대관령,임계):8.3℃,1,146mm
2. 내륙지역(철원, 춘천, 원주, 홍천) : 10.1℃, 1,330mm
3. 해안지역(소금강, 속초, 강릉, 삼척) : 12.9℃, 1,180mm

* 지질
- 화강암과 변성암 계열로 강원도전역과 비슷한 지질구조를 보이나, 남쪽 임계지역에 석회암지역이 국소적으로 분포

* 종 다양성
- 연구지역에는 1,375종류의 관속식물이 분포함. (강원도에 분포하는 총종류의 71.9%, 우리나라 전체의 33.8%에 해당)
- 백두대간계는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의 북부대로서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과 다른 뚜렷한 種造成群이 나타나는데 이는 고도의 영향 때문임
- 거의 전지역이 녹지자연도 8등급이상 지역에 해당함. 높은 고도, 접근성의 불리, 설악산·오대산 국립공원지정 영향
- 백두대간의 생태는 양호한 편이나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개발의 압력이 높아 지고 있음.
 
산림자원
* 현황(개요)
- 백두대간 주변 산림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림지역으로 원시성을 잘 간직하고 있음.
1. 평균임야율 85%, 임목축적 76㎥(진부령-백봉령 구간 9개시군)
- 천연활엽수림이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소나무림과 혼효림이 각각 1/4로 비슷한 분포를 이루고 있음

<산촌 조사사례>
구분
특성
진흥방안
고위평탄지
(강릉 왕산 대기리)
- 고냉지 채소감자등 연작
- 경지면적이 1∼2만평 대규모로 소득이 높음
- 散村형 취락으로 공동체 생활결여
- 대규모 기계농업 특화지역
- 소득향상 보다는 삶의질 향상에 중점
- 농업적으로 특화
- 유통구조 개선에 중점
고위 산간지
(정선 북평 석암리,
정선 북면 유천리)
- 화전정리의 피해가 큰지역임
- 조양강 상류지역으로 경작지 협소
- 경관이 좋아 외지인 별장등 다수
- 휴양지 특화지역
- 관광휴양지 개발
- 민박,토속음식점 운영
- 주택개량과 기반시설, 환경보호
급사면 산간지
(강릉 옥계 산계리)
- 산림부산물 중심의 생활
- 소득원이 밭작물에 한정
- 주거환경 열악으로 관광수입 미약
- 복합경영 특화지역
- 약초등 특화작목과 한봉
- 흑염소 등 복합경영
 
백봉령 - 지리산 구간
지형분석
* 강원도 구간
구 분
지형구조
토지이용
훼손실태
기 타
화천계곡
(정선 임계면)

계곡분지
(급경사)

고랭지농업
계곡입구 농산물
저장용 토굴
소나무, 혼효림,
벌채후 조림지
생계령지역
(정선, 자병산 인근)

석회암지대
(카르스트)

전답, 방목
한라시멘트
석회석 광산
지역, 산악, 환경
단체의 훼손저항
댓재
(삼척, 청옥산 인근)

계곡분지

전답, 피서지,
고랭지농업
석원산업
골재, 채석장
424번 지방도로
절개지 사면
귀내미골
(삼척, 하장면)

석회암지대
(카르스트)

고랭지농업
급경사면 방목
산림제거, 초지
및 농지조성
'환선굴' 발굴로
관광지로 개발중
매봉산
(태백 적각동)

한강, 낙동강,
오십천수계

고랭지채소
재배단지
산림제거, 초지 및
농지조성
백두대간에서
낙동정맥으로 분기
싸리재(매봉산과
함백산 사이)
-
산림조성
38번국도,
헬기장, 휴게소
싸리재 터널 공사중
(도로굴곡)
함백산
(태백-정선 사이)

산악지형
(급경사)

태능선수촌
태백분촌
둥글레채취,
석탄 폐광, 도로
함백산 주목군락
산림유전자원보호림지정
화방재
(함백산 인근)

한강, 낙동강
수계로 분수

수련원, 경지,
목초지
31번국도,
휴게소, 주유소
목초지가 대간능선을
향해 확대중
태백산
(태백-경북봉화)

산악지형

도립공원
공원시설, 천재단등
종교시설
주목군락 불법채취
국립공원화 필요

구 분
지형구조
토지이용
훼손실태
기 타
청옥산
(봉화 소천면)
-
자연휴양림
휴양림 편의시설,
인공시설
추가적인 훼손
금지 필요
도래기재
(봉화, 춘양면 인근)
한강수계
소규모 농업,
산간오지마을
도로 및 사설임도
일제 금정광산
폐광지(역사유적)
벌재재
(문경, 동로면 인근)
-
월악농원,
산림조성
975번 지방도로,
삼율광산
대간 마루금과
행정경계 불일치
차갓재
(문경, 동로면)
-
전답, 산간오지
촌락 형성
광진광산,
석재채굴
황장산 등산로외
거의 통행없음
하늘재
(문경-충주)
-
관광지,
계단식 농업
비교적 산림보존 및
경관양호
월악산 국립공원
인근 지역
불란치재
(문경 가은읍)
-
전답, 과수농
쓰레기 더미,
폐가 개활지
속리산 국립공원에
소속된 고개
눌재, 청화산
(문경 화북면)

금강수계
(두부침식)

대규모 수경
재배 농장
산림훼손,
도로 급경사면
목초지, 농경지등 토양침식,
표토유실
장자고개
(상주 화남면)
-
고랭지 농업
과수원
대간마루까지
경작지 조성
해발고도 300m
불과
화령재
(상주 화서면)

분지지형 및
경사면

광범위한
전답, 과수원
경작지 조성으로
산림제거
25번국도에 의해
백두대간 단절
신의터고개
(상주 화동면)

급경사 및
완경사

밭, 잡목지
묘지 多
300m내외의 구릉지
지기재
(상주 모서면)

급경사 및
완경사

밭, 과수원,
축사, 돈사
대간마루금
전체가 경작지
침식에 대비하여
조림필요
큰재
(상주 공성면)

계곡분지

논, 건물
인성초교 대간
마루금 위치
대부분 산림지로
좁은 계곡형성
추풍령분지
(김천-영동)

분지지형

전답, 건물,
도로
4번국도, 경부고속국도, 경부선
철도, 추풍령채석장등 훼손심각
바람재
(김천-영동)

고산지대
(급경사지)

바람재목장,
부속건물
대규모 벌목지로
침식심각
국유림대부지
('93-'98 5년간)

* 충북 구간
구 분
지형구조
토지이용
훼손실태
기 타
소백산
(단양-경북 풍기)
-
국립공원
부속시설,
도로, 탐방로
국립공원 중심부로
백두대간 통과
저수재
(단양-경북 예천)
-
저수령휴게소,
소백산목장
목장지 침식,
도로개설
소백산, 월악산
국립공원 인접
단양유황온천지구
(단양)

하곡, 단구
(급경사)

전답, 과수농,
취락
사과농 확대에
따라 산림훼손
관광단지 조성
조령산
(충주-경북 문경)

한강, 금강 분수계

자연휴양림,
관광단지,
괴산, 문경간에
경쟁적 관광개발
월악산국립공원
문경새재도립공원
이화령
(충주-경북 문경)
기반암지형
(테일러스)
이화령휴게소
절토 및 성토지
터널 공사중
작점고개, 난함산
(영동-경북 김천)

하곡
(두부침식)

통신중계소,
전답, 목장
산림훼손 및
토양침식
도로사면 폭이
좁아 붕괴우려
궤방령
(영동-경북 김천)

계곡분지
(어촌분지)

계단상 논,
목장, 식품공장
고개 정상부
제외 농지조성
해발고도 300m의
평지가 전개됨
질매재
(영동-경북 김천)

금강, 낙동강
분수계

농업형 산촌
계단식 경작
매일유업목장지,
축산폐수
급사면의 식생제거로
침식우려

* 전북구간
구 분
지형구조
토지이용
훼손실태
기 타
덕산재
(무주-경북 김천)
-
주유소, 전답
30번국도, 대간
상의 절토지
산림보존상태
양호, 휴게소공사
육십령
(장수-경남 함양)

침식분지,
산간분지

고랭지 농지, 주거지,
과수원
채석장, 수련원,
휴게소 등
덕유산지와 지리산지
연결
지재
(남원 아영면)

계곡분지
(평야지)

고랭지 농지
과수원
도로개설,
목장지, 침식지
급경사지에서는
산림양호
유치지역
(남원 운봉읍)

풍화, 침식지
분지평야

주거지, 전답, 과수농
목기공장, 묘지,
경사지 훼손
마루금에 인접하여
취락형성
고남산
(남원 운봉읍)
-
통신중계소
통신중개소용
도로개설, 절개
통신시설을 활용한
산림보호 필요
여원재
(남원 운봉읍)

침식분지
(완경사)

전답, 주거지
24번국도, 전답,
주거지 확장
토지이용에 따른
마루금변형 심각

* 기타구간
구 분
지형구조
토지이용
훼손실태
기 타
지리산
(전북, 전남, 경남)
분지지형
도로, 등산로,
휴게소, 시설
관광지 차원에서
국립공원조성
안식년제, 훼손지
복원등 보전대책
운봉분지
(남원 운봉읍)
계곡분지
(충적지)
마을, 주거지,
전답, 학교
대간마루금이
마을을 관통
지리산분지 북사면에 연결
소사고개
(경남 거창)
-
고랭지 채소단지,
전답
대간줄기를 향해
경지확대중
덕유산 국립공원인근
중재
(경남 함양)
-
고랭지 농업,
백운목장
관광단지 조성 및 경지확대
급경사에 농지조성으로
침식우려
 
종다양성
- 조사지역 식물상은 144과 626속 1,475종 6아종 332변종 72품종으로 총종수는 1,885종이며
  남한 총분포종 4,071종의 46.3%
- 지리적 범위가 넓어 서식환경의 이질성이 높아 많은 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비교적 보존이 잘된
  국립공원지역에서 많은 종 출현
 
식생분포의 구조
- 낙엽활엽수림 : 소백산∼속리산에 이르는 지역에서 20∼50%로 높았 으며 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림이 우점종
- 침엽수림 : 강원도지역(50∼70%), 소백산이남∼문경새재(20∼30%) 에서 높았으며 소나무림이 우점종
- 인공림 : 소백산∼속리산(10∼20%), 덕유산 인근지역(10∼30%)이 높았으며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등이 대부분임
 
생태계 보존 현황
* 우리나라의 자연보전 관련법과 관리기관
보호구역명칭
대상지역 세부구분
관련법
관리기관
자연환경보전지역
(국토 이용관리법)
생태계
보호지역
자연생태계보호지역 자연환경보전법 환경부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문화재보호법 문광부
공익임지 산림법 산림청
산림유전자원보호림 산림법 산림청
수산생물 보호수면 수산업법 해수부
자연자원
경관보호지역
자연공원 자연공원법 행자부
도시공원 도시공원법 건교부
명승지 문화재보호법 문광부
야생 동식물보호
특정야생 동식물 자연환경보전법 환경부
천연기념물 문화재보호법 문광부
야생조수 조수보호 법률 환경부

* 우리나라의 자연보전 관련법과 관리기관
- 자연생태계 보호지역 : 지리산 피아골 극상원시림 1개소
-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 소백산 주목군락, 속리산 정이품송, 괴산 미선 나무 자생지, 지리산 올벗나무림 등 11개소
- 산림유전자원보호림 : '진귀한 임상' 2개소, '희귀수목 자생지' 14개소
- 자연공원 : 국립공원 7개소(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도립공원 2개소(문경새재, 태백산)
- 녹지보전지역 : 녹지자연도 8등급 이상지역으로 백두대간계는 전체 녹지보전지역의 18%를 차지하고 있음
 


'1대간 9정맥 > 백두대간 종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의 개념  (0) 2007.10.10
백두대간의 역사  (0) 2007.10.10
백두대간이란?  (0) 2007.07.28
백두대간 고도표  (0) 2007.07.28
백두대간 개념도  (0) 2007.07.2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