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잣나무숲
- 금남정맥
- 견지낚시
- 한북정맥
- 지리산
- 낙동정맥
- #야영산행
- 100대명산
- 백두대간
- 자전거여행
- 자전거 라이딩
- 한남금북정맥
- 야영산행
- 호남정맥
- 한남정맥
- 100대 명산
- 국사봉
- #견지낚시
- 야영
- #삼남길
- 백운산
- 국토종주 자전거길
- #100대 명산
- 낙남정맥
- 시산제
- 금북정맥
- 잣숲
- 섬산행
- #삼남대로
- 삼남길
- Today
- Total
목록1대간 9정맥/백두대간 종주기 (46)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
[백두대간]그 열네번째(신의터재~화령재) 1983년 여름이었나 보다. 당시 경남 남해에서 군 생활할 때인데, 마침 일요일이어서 점심 먹고 부대원들끼리 부대 아래 선착장에서 수영하며 놀고 있었다. 선착장이라고 해봐야 우리가 산에서 잘라온 통나무로 만든 간이부두였다. 그 통나무 선착..
[백두대간]그 열세번째(큰재~신의터재) '아기다리고기다리던' 여름 휴가다. 직장인에게 여름 휴가가 없다면 어떻게 이 힘들고 팍팍한 세상을 살 수 있을까? 생각만해도 끔찍한 일이다. 팍팍한 일상에 단비 같은 축복인 휴가가 드디어 시작되었다. 언제나 지나고 나면 짧기만한 여름 휴가..
[백두대간]그 열두번째(추풍령~큰재) 드디어 우리나라에도 주 5일 근무제가 보편화되고 있다. 국가 전반에 표준(標準)을 제공하는 공무원들부터 주 5일 근무가 시작되어 일반 기업들에게도 확산되더니 웬만한 기업에서는 모두 정착이 되어가고 있나 보다. 배가 막 아파 온다. 주 5일 근무..
[백두대간]그 열한번째(삼도봉~추풍령) '미드라시(midrash)'는 히브리(Hebrew) 용어(用語)이다. 유대교 성경(聖經) 주석(註釋)의 설교 방식을 말한다. 직역하면 '조사(調査)'또는 '연구(硏究)'로 해석된다. 성서 구절을 실제 상황에 적용시켜 해석해 놓은 유대교의 책이라고 보면 된다. 그 미드라..
[백두대간]그 열번째(빼재~삼도봉) 백두대간 종주(白頭大幹 縱走)를 하고 있는 산꾼들은 제각기 나름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 힘들다는 대간 종주길에 나서고 있다. 그 방법은 대개 인적 구성(人的 構成)과 종주 방법(縱走 方法)으로 구분된다. 인적 구성은 보통 산악회 단위의 단체 산행..
[백두대간]그 아홉번째(천왕봉~성삼재) '백두대간(白頭大幹)'은 우리 민족 고유의 산맥(山脈) 개념이다. 백두산을 조종(祖宗)으로 하는 산줄기가 한반도의 등뼈를 이루며 지리산까지 이어지는데, 그 흐름을 단 한차례도 잃지 않고 '산자분수령(山自分水嶺)'하여 물길과 산길을 가르고 있다..
[백두대간]그 여덟번째(동엽령~빼재) 껍데기는 가라 /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 껍데기는 가라 // 껍데기는 가라 / 동학년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 껍데기는 가라 //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 아사달과 아사녀가 /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 ..